반응형

공부 4

논문의 초록과 결론의 차이

Abstract (초록) 목적: 독자가 논문을 읽을지 말지 판단할 수 있도록 논문 전체 내용을 요약하는 것독립적으로 읽혀야 하며, 본문을 읽지 않아도 핵심 메시지를 이해할 수 있도록 구성됨포함되는 내용:- 연구 배경 및 목적- 사용된 방법론- 주요 결과- 결론 및 함의 (요약 형태로)- 때로는 연구의 의의나 한계까지 짧게 언급특징:- 짧고 (보통 150~300단어), 간결함- 현재 시제 또는 과거 시제 혼용 가능 (특히 결과 부분은 과거 시제로)Conclusion (결론) 목적: 본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미를 정리하고 종합적인 해석을 제시독자가 논문을 다 읽은 후에 무엇을 배웠는지, 어떤 시사점이 있는지 명확히 전달포함되는 내용:- 연구 결과 요약-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중요성- 정책적·..

공부 2025.04.06

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

글쓰기관련 책을 찾다가..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글쓰기교실에서 출판한 책들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. https://owl.snu.ac.kr/%ec%95%84%ec%b9%b4%ec%9d%b4%eb%b8%8c/ 아카이브 - 서울대학교 온라인 글쓰기교실 아카이브 글쓰기 자료실 연구노트 시리즈 우수리포트 수상작 학생이 말하는 글쓰기 등 바로가기 고전 100 SNU 고전 100 동영상 자료 바로가기 (구)글쓰는 관악인 (구)글쓰는 관악인 자료 글쓰기의 owl.snu.ac.kr

공부/글쓰기 2022.05.09

방법론) 구조방정식

구조방정식은 크게 공분산 기반 구조방정식(Covariance Based-Structural Equation Model: CBSEM) 과 PLS-구조방정식(Partial Least Square: PLSSEM)으로 나뉜다. ​ 만약 연구 모형이 강한 선험적 이론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, 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경우 모형의 전체적인 적합도 지표가 구축되어 있는 CB-SEM이 적절하지만 연구자가 새로운 구조를 탐색하거나, 예측력에 초점이 두고 있다면 PLS-SEM이 더 적절하다. ​ 출처: 노승철. (2014). 가구 부문의 에너지 소비 및 이산화탄소 배출구조 분석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에 관한 연구. 국토연구, 157-183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