녹색분류체계(K-Taxonomy)는 민간 기업 활동을 저탄소 등의 경영활동 수준에 따라 '녹색'과 '비(非)녹색'으로 구분하는 체계를 뜻한다.
투자자들이 해당 금융상품이 녹색투자대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할 목적이다.
녹색분류체계 초안에 따르면 정부는 제조업(친환경자동차·저탄소 기술제조 등)·건설업(저탄소 도시개발·그린 리모델링 등)·운송업 등 총 10대 분야의 81개 하위 경제활동을 선정할 계획이다. 유럽연합·ISO·중국 등의 분류체계 등을 참고로 한다.
정부는 이들 분야와 관련된 경제활동이 '녹색'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술적인 기준도 단계적으로 마련할 방침이다.
또 겉으로는 친환경 경영을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소위 '그린워싱'을 방지하기 위해 경제활동 분야별로 반드시 준수해야 할 환경법규도 구체화할 계획이다. 실제로 EU는 준수 대상에 대한 환경 법규를 제시하고 있다.
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녹색분류체계 시범 적용을 거친 후 점진적으로 분류체계의 조정 및 보완을 추진할 예정이다. (정책금융부 김예원 기자)
출처 : 연합인포맥스(https://news.einfomax.co.kr)
'저탄소사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NDC 상대적 감축 타겟 (1) | 2024.08.30 |
---|---|
1차 전지와 2차 전지 리튬, 리튬 이온 폴리머 전지 종류 (0) | 2024.07.06 |
녹색채권 Green bond (0) | 2024.05.20 |
폴리실리콘 가격 8월 23일 기준 (0) | 2023.08.27 |
폴리실리콘 주간 가격 2023년 8월 16일 (0) | 2023.08.17 |